한국의 창업 생태계는 아직까지 민간보단 정부 주도형이다. 한해 1.5조원에 달하는 공적 자금이 창업지원에 투입되고, 이는 매년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이를 두고 다소 과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투자한 만큼 충분한 결실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직 집계되지 않은 잠재적 가치까지 고려하면 분명 ‘남는 장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창업·벤처 지원사업인 ‘K-Global 프로젝트’의 2019년 수혜기업이 창출한 성과를 18일 발표했다.
수혜기업의 경영실적 전수조사를 통해 집계된 해당 분석에 따르면 457개 기업에 재직 중인 임직원수는 지난해 말 기준 5612명으로 전년 동기 3987명과 비교해 1625명 증가했다. 1년 만에 무려 40.8%가 증가한 수치다. 신규 고용 창출을 이뤄낸 기업은 전체의 73.5%인 336개로 드러났다.
기업들이 일궈낸 전체 매출은 1년 사이 3313억원에서 4523억원으로 36.5% 늘어났다. 매출이 발생한 기업의 수도 313개에서 396개로 18.2% 증가했다. 해외 매출은 16.1%인 728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 유치 총액은 2018년 1514억원에서 무려 1180억원(77.9%) 증가한 2694억원에 달했다. 투자를 받는 데 성공한 기업은 103개에서 148개로 대폭 늘어났다.
매출과 투자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해당 기업들의 특허 출원은 1364건으로 전년보다 248건 늘어났고, 특허 출원 기업은 33% 증가한 242개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독자기술 확보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최우혁 과기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은 규모보다 속도가 중요하고 이러한 흐름은 ICT 분야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게는 매우 큰 기회”라며 “ICT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고성장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고성장기업이 유니콘을 넘어 데카콘 기업으로 가속 성장할 수 있도록 내실 있는 지원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ICT 분야 뿐 아니라 창업 생태계가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여러 지표로 드러난다. 2010년 6만개였던 신설 법인은 매년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지난해 10만9000개를 기록했다.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으며, 모든 연령층에서 업종과 무관하게 골고루 늘어났다. 정부 창업지원 사업이 점점 다각화·세밀화하면서 얻어진 성과로 분석된다.
창업지원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를 바탕으로 올해 16개 부처 90개 창업지원 사업에서 총 1조4517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1조1181억원에 비해 3336억원(29.8%) 증가한 역대 최대치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정부 지원만으로 모든 것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마중물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라며 “창업기업들도 성장하는 만큼 국가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