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직장인∙키즈 특화 U+메타버스 서비스 공개
LG유플러스, 직장인∙키즈 특화 U+메타버스 서비스 공개
2022.05.17 15:46 by 유선이
사진=LG유플러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시장에 진입한 기존의 메타버스 서비스와 달리 직장인∙키즈 등 고객에 선택과 집중하여, 타겟 고객에 특화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또한 통신사 최초로 NFT(Non-Fungible Token) 커뮤니티 시장에도 진출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17일 설명회를 열고 ▲U+가상오피스 ▲U+키즈동물원 ▲무너NFT 3가지 서비스를 공개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일상화된 직장인, 놀이하듯 즐기는 학습을 원하는 어린이 등 니즈가 명확한 고객을 대상으로 꼭 필요한 기능을 갖춘 서비스를 선보여 고객 경험을 혁신하겠다는 전략이다.

메타버스는 전 세계적 트렌드로 자리매김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PwC는 글로벌 시장규모를 지난해 957억달러(약 113조원)에서 오는 2030년 1조5429억달러(약 1820조원)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유통, 금융,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에서 메타버스 시장에 뛰어들며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로 진화하거나 다양한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여러 서비스가 등장해 고객들의 호기심은 자극할 수 있었으나, 단순히 아바타와 공간을 제공하고 소통하는 것만으로는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메타버스를 '미래 고객 경험을 담은 생활 공간의 확장'으로 정의하고, 니즈가 명확한 타겟 고객을 위한 특화 서비스를 선보였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 글로벌 최대 리얼타임 3D 콘텐츠 개발 기업인 ‘유니티’와 협약을 맺은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국내 최초로 대학교 전용 메타버스 서비스를 숙명여자대학교에 제공한 바 있다.

U+메타버스는 아바타, 공간, 액티비티 등 메타버스의 구성 요소 중 소통, 협업, 체험 등 ‘액티비티’에 집중하여 인터랙티브한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오피스의 경우 아바타의 옷차림이나 외모 등 ‘꾸미기’ 기능보다는 아바타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음성과 입술 움직임을 일치시키는 등 ‘소통’의 몰입도를 높였다. 또한 다른 아바타와 손쉽게 스몰톡을 주고받고 아바타로 회의에 참석하는 등 사무실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액티비티’ 본연의 기능에 집중했다. 타겟 고객군에 최적화된 차별화된 기능을 마련해 서비스 이용 가치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LG유플러스 CTO(최고기술책임자) 이상엽 전무는 “앞으로는 현실에서 벌어졌던 고객 경험이 메타버스로 이전될 것이며, 가상공간 내에서 고객이 실제 가치를 체감하며 확장된 경험을 느끼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선택과 집중 전략을 채택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고객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고객 경험을 지속 혁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U+가상오피스는 코로나19 이후 재택이 일상화된 업무환경에 특화된 서비스로, 출근부터 퇴근까지 아침 인사, 스몰톡, 개인 면담, 화상회의, 업무 협업 등 실제 사무실에서의 업무 과정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가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재택근무를 경험한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FGI)를 진행한 결과, ‘소통 단절로 소속감을 느끼기 어렵다’, ‘문서 공동작업 등이 지원되지 않아 비대면 회의에 불편함이 있다’는 공통된 의견이 있었다.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로 업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U+가상오피스에서는 채팅, 음성∙영상 대화, 화상회의와 같은 업무에 필요한 통합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기본 기능은 물론 ▲실시간 자막과 회의록을 작성해주는 'AI 회의록' ▲포스트잇을 이용한 메모, 동시 첨삭 등 공동 작업이 가능한 '협업 툴' ▲감정 표현 제스처와 립싱크로 현실감을 높인 '아바타 대화하기' 등 소통과 협업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AI 회의록’은 단순히 목소리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 기능에서 나아가, 회의 중 각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인식해 누가 어떤 내용을 말했는지 회의록을 자동 생성한다. 주요 키워드 중심의 요약 정리도 가능하도록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바타 대화하기’는 환호하기, 감사의 손짓 등 아바타의 표정과 제스처를 통해 동료들과 소통의 재미를 더해주고, 말하는 대로 아바타의 입모양이 움직이는 립싱크 기능을 탑재해 생생함을 더했다.

LG유플러스 임직원들이 U+가상오피스를 사전 체험한 결과, 60% 이상이 실제 사무실에 출근했을 때와 유사한 소속감을 느꼈으며, 아바타의 다양한 감정표현이 자연스러운 소통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U+가상오피스는 다른 메타버스 서비스와 달리, 소통과 협업에 특화된 기능을 통해 직장인들에게 중요한 ‘업무 생산성’을 보장하는 것이 차별화된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서비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임직원과 일부 고객사에 우선 서비스를 제공한 후, 내년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 서비스인큐베이터Lab장 김민구 담당은 "서비스 방문 빈도와 고객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개별 메타버스 서비스를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확장을 모색할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NFT를 접목한 신규 서비스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필자소개
유선이

안녕하세요. 유선이 기자입니다. 많이 듣고, 열심히 쓰겠습니다.


The First 추천 콘텐츠 더보기
  • “불굴의 도전을 응원합니다!”…아산나눔재단,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개최
    “불굴의 도전을 응원합니다!”…아산나눔재단,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개최

    4월 12일까지 데모데이 진출할 전국의 유망 스타트업 모집!

  • 투니모션이 만든 애니메이션 ‘달달한 그녀’, 카카오페이지‧네이버시리즈온 동시 론칭
    투니모션이 만든 애니메이션 ‘달달한 그녀’, 카카오페이지‧네이버시리즈온 동시 론칭

    원작의 탄탄한 스토리에 신선한 재미까지 더하다

  • 챗GPT로 다시 떠오른 그 이름, ‘샘 알트만’은 누구인가?
    챗GPT로 다시 떠오른 그 이름, ‘샘 알트만’은 누구인가?

    챗GPT의 열풍을 만든 주인공. 오픈AI의 창업자 샘 알트만은 실리콘밸리의 교장선생님으로 불리는 투자자 출신이다. 그의 이력보다 인상적인 건 그 이력에 내재되어 있는 발군의 기업가...

  • 웹툰 원작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너와 나의 눈높이’, 카카오페이지‧네이버시리즈온 통해 3월 7일 동시 론칭
    웹툰 원작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너와 나의 눈높이’, 카카오페이지‧네이버시리즈온 통해 3월 7일 동시 론칭

    현재 카카오페이지에서 론칭 기념 이벤트도 진행 중!

  • 프리워커의 성공방정식…기호에서 수요를 찾아라
    프리워커의 성공방정식…기호에서 수요를 찾아라

    좋아하는 일을 業으로 일군 사람들의 비결은 무엇일까?

  • 네이버, 초대규모AI 개발자 컨퍼런스 ‘DEVIEW 2023’ 개막...'챗GPT' 보다 한국어 학습 월등한 ‘하이퍼클로바X’ 공개
    네이버, 초대규모AI 개발자 컨퍼런스 ‘DEVIEW 2023’ 개막...'챗GPT' 보다 한국어 학습 월등한 ‘하이퍼클로바X’ 공개

    네이버가 하이퍼스케일 기술 기업으로 도약을 선포했다!

  • “영감 어린 제품 선보일 스타트업 모여라!”…아산나눔재단, 팝업스토어 ‘마루콜렉트’ 오픈
    “영감 어린 제품 선보일 스타트업 모여라!”…아산나눔재단, 팝업스토어 ‘마루콜렉트’ 오픈

    오는 4월부터 약 7주간, 영감을 수집할 제품 선보이세요.

  • “코딩 어렵다고? AI 챗봇에게 물어봐”…엘리스, GPT-3 기반 챗봇 ‘AI 헬피’ 출시
    “코딩 어렵다고? AI 챗봇에게 물어봐”…엘리스, GPT-3 기반 챗봇 ‘AI 헬피’ 출시

    코딩 학습 전반에서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