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는 혁신적인 기술, 강력한 플랫폼 파워, 카카오 에코시스템 등을 활용해 은행을 넘어 금융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기업이 되겠습니다"
카카오뱅크 윤호영 대표이사는 20일 ‘IPO PRESS TALK’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윤 대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만 은행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카카오뱅크는 1615만명의 고객과 1년 반만의 흑자 전환을 통해 가능성을 증명했다"며 "상장 후 카카오뱅크는 대규모 자본을 기반으로 더 진화한 모습을 선보일 것"이라고 했다.
카카오뱅크는 기업공개를 통해 6,545만주의 신주를 발행한다. 1주당 희망 공모가는 3만 3,000원부터 3만 9,000원 사이로, 최대 약 2조 5,526억원의 자금을 확보할 예정이다.
공모가 확정은 22일이며 청약일은 26일과 27일이다. 상장 예정일은 다음달 6일이다.
카카오뱅크는 모바일 완결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과 차별화한 상품·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 경제활동 인구 대비 57%인 1,615만 명이 사용하는 모바일은행이다. 또한 카카오뱅크 모바일 앱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도 1,335만명(닐슨미디어 디지털 데이터 기준)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의 이용자 증가와 높은 활동성은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카카오뱅크 계좌이체 금액은 79조 1,000억 원으로 전년동기 49조 3,300억원 대비 160%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10대 청소년과 50대 이상 이용자가 늘면서 카카오뱅크 이용자층이 전 연령으로 확대되고 있다.
윤 대표는 "이번 공모로 조달할 자금의 사용처도 카카오뱅크의 미래 방향성에 맞춰져 있다"고 밝히며 "중저신용고객 대상 대출 확대 등을 위한 자본 적정성 확보를 비롯해 우수 인력 확보 및 고객 경험 혁신, 금융 소비자 편익 증대를 위한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것이며, 금융기술의 R&D, 핀테크 기업의 M&A, 글로벌 진출을 위한 투자에도 공모자금을 사용할 것"이라고 전했다.